Prerequisites
이 포스팅을 이해하기 위해선 아래의 내용에 대해 알고 오시는 것이 좋습니다.
매개변수 변환법 소개
매개변수 변환법은 비제차 미분방정식을 풀이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이다.
미정계수법은 비제차 항이 다항 함수, 코사인, 사인함수, 지수함수인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었지만 매개변수 변환법은 그 활용도가 더 넓다고 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은 2계 비제차 미분방정식을 생각해보자.
\[x''+p(t)x'+q(t)x=r(t)\]위와 같은 2계 비제차 미분방정식의 해는 다음과 같은데,
\[x(t) = x_h(t) + x_p(t)\]$x_c(t)$의 기저 함수는 두 개이므로 조금 더 풀어쓰면 다음과 같다.
\[x(t)=c_1x_1(t)+c_2x_2(t)+x_p(t)\]여기서 매개변수 변환법의 아이디어는 Reduction of order 편에서 본 것 처럼 $x_h$의 기저 $x_1$과 $x_2$를 이용해서 $x_p$를 구해낼 수는 없을까 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아래와 같이
\[x_p(t) = u(t)x_1(t) + v(t)x_2(t)\]와 같이 $x_p$를 설정하면 $x_1(t)$와 $x_2(t)$에 모두 독립적인 적절한 $x_p(t)$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라는 아이디어이다.
여기서 $x_p(t)$를 잘 보면 $x_h(t)$의 $c_1$과 $c_2$를 $u$, $v$로 바꾼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parameter를 바꾼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이런 맥락에서 매개변수 변환법(variation of parameters)라는 method의 이름이 부여된 것이락 볼 수 있다.
아무튼 여기서 중요한 것은 $x_p(t)$ 역시도 식(1)을 만족하는 solution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x_p$를 식 (1)에 대입해보자.
그러기 위해 1차 미분과 2차 미분을 구해보면,
\[x_p=ux_1+vx_2\] \[x_p'=u'x_1+ux_1'+v'x_2+vx_2'\]여기서 $x_p’‘$을 구하기 전에 아래와 같은 가정을 덧붙여보자.
\[u'x_1+v'x_2 = 0\]이 가정은 미분 식을 간단하게 만들어줄 뿐만 아니라 솔루션을 구하는데 매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가정은 뒤에 있을 Cramer’s rule에 적용하기 위한 연립 방정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적절한 $u$, $v$를 찾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이런 가정까지도 만족하는 $u$와 $v$를 찾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이런 가정을 가지고 $x_p’‘$을 구하면,
\[x_p'' = u'x_1'+ux_1''+v'x_2'+vx_2''\]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원래의 미분방정식에 $x_p’’$, $x_p’$, $x_p$를 대입하면,
\[x_p''+p(t)x_p'+q(t)x_p=r(t)\] \[=\Big\lbrace u'x_1'+ux_1''+v'x_2'+vx_2''\Big\rbrace+p(t)\Big\lbrace (ux_1'+vx_2')\Big\rbrace + q(t)(ux_1+vx_2) = r(t)\]이 식을 $u$와 $v$에 관해 다시 정리해주면,
\[\Rightarrow u\Big\lbrace x_1''+p(t)x_1'+q(t)x_1 \Big\rbrace \\ \\ \quad\quad + v\Big\lbrace x_2''+p(t)x_2'+q(t)x_2 \Big\rbrace \\ \\ \quad\quad\quad + u'x_1'+v'x_2' = r(t)\]이다. 여기서 중괄호($\lbrace\rbrace$) 안에 있는 방정식은 모두 제차미분방정식의 해를 가지고 써준 것이므로 0이다. 따라서 위의 식은
\[\Rightarrow u'x_1'+v'x_2'=r(t)\]와 같이 쓸 수 있다.
여기서 식 (7)과 식 (12)를 묶어 다음과 같이 표현해보자.
\[\begin{cases}u'x_1+v'x_2= 0 \\ \\ u'x_1'+v'x_2'=r(t)\end{cases}\]이 식은 일종의 연립방정식으로 아래와 같이 행렬을 이용해 표현할 수도 있다.
\[\begin{bmatrix}x_1 & x_2\\ x_1' & x_2'\end{bmatrix}\begin{bmatrix}u' \\ v'\end{bmatrix}=\begin{bmatrix}0 \\ r(t)\end{bmatrix}\]따라서, 우리가 구하게 되는 해는 $u’$와 $v’$에 관한 것이다.
이 연립방정식을 구할 수 있는 해법 중 하나는 크래머 법칙(Cramer’s rule)이다.
크래머 법칙을 이용하면 아래와 같이 해를 구할 수 있다.
\[u'=\frac {\text{det}\left(\begin{bmatrix}0 & x_2 \\ r(t) & x_2'\end{bmatrix}\right)} {\text{det}\left(\begin{bmatrix}x_1 & x_2 \\ x_1' & x_2'\end{bmatrix}\right)}\] \[v'=\frac {\text{det}\left(\begin{bmatrix}x_1 & 0 \\ x_1' & r(t) \end{bmatrix}\right)} {\text{det}\left(\begin{bmatrix}x_1 & x_2 \\ x_1' & x_2'\end{bmatrix}\right)}\]여기서 분모의 $\text{det}\left(\begin{bmatrix}x_1 & x_2 \ x_1’ & x_2’\end{bmatrix}\right)$를 $x_1$과 $x_2$의 론스키안(Wronskian)이라고 부르는데 우리는 $W(x_1, x_2)$라고 적자.
그리고 각 분자에 있는 행렬식은 $2\times 2$ 행렬의 행렬식을 직접 계산할 수 있으므로,
\[u'=\frac{-x_2r(t)}{W(x_1,x_2)}\] \[v'=\frac{x_1r(t)}{W(x_1,x_2)}\]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u(t)=\int \frac{-x_2r(t)}{W(x_1,x_2)} dt\] \[v(t)=\int \frac{x_1r(t)}{W(x_1,x_2)} dt\]과 같이 $u(t)$와 $v(t)$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particular solution은
\[x_p(t) = -x_1\int\frac{x_2r(t)}{W(x_1,x_2)}dt+x_2\int\frac{x_1r(t)}{W(x_1,x_2)}dt\]가 됨을 알 수 있다.
예제문제
문제 1.
아래의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시오.
\[2x''+18x=6\tan(3t)\]Solution
매개변수 변환법을 이용해 문제를 풀 때 빠질 수 있는 함정 중 하나는 최고 차항의 계수가 1이 아닌 경우에 이것을 1로 만들어줘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기 위해 양변을 $2$로 나눠주자.
\[\Rightarrow x''+9x=3\tan(3t)\]2계 선형미분방정식의 해법(2) 편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대입법을 이용해 위 방정식의 제차꼴 해를 풀어주면,
\[x_h(t) = c_1\cos(3t)+c_2\sin(3t)\]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x_1(t) = \cos(3t)$ 이고, $x_2(t)=\sin(3t)$이다.
식 (21)의 해법을 이용해 비제차 해(particular solution)을 구해보자.
그러기 위해 $x_1$과 $x_2$와 Wronskian을 먼저 계산하도록 하자.
\[W(x_1, x_2) = \text{det}\left(\begin{bmatrix}x_1 & x_2 \\ x_1'& x_2'\end{bmatrix}\right)=\text{det}\left(\begin{bmatrix}\cos(3t) & \sin(3t) \\ -3\sin(3t) & 3\cos(3t)\end{bmatrix}\right)\] \[=3\cos^2(3t)+3\sin^2(3t) = 3\]따라서, particular solution은
\[x_p(t) = -\cos(3t)\int \frac{3\sin(3t)\tan(3t)}{3}dt+\sin(3t)\int \frac{3\cos(3t)\tan(3t)}{3}dt\]여기서 $\tan(t)=\frac{\sin(t)}{\cos(t)}$ 라는 사실을 이용하자.
\[\Rightarrow-\cos(3t)\int\frac{\sin^2(3t)}{\cos(3t)}dt+\sin(3t)\int\sin(3t)dt\] \[=-\cos(3t)\int\frac{1-\cos^2(3t)}{\cos(3t)}dt+\sin(3t)\left(-\frac{1}{3}\cos(3t)\right)\] \[=-\cos(3t)\int\sec(3t)-\cos(3t)dt+\sin(3t)\left(-\frac{1}{3}\cos(3t)\right)\] \[=-\cos(3t)\left(\int\sec(3t)dt-\int\cos(3t)dt\right)+\sin(3t)\left(-\frac{1}{3}\cos(3t)\right)\]$\sec(t)$의 적분이 아래와 같다는 사실을 이용하자.
\[\int\sec(t)dt = \ln|\sec(t)+\tan(t)|+C\] \[\Rightarrow-\cos(3t)\left(\frac{1}{3}\ln|\sec(3t)+\tan(3t)|\right)+\cos(3t)\left(\frac{1}{3}\sin(3t)\right)+\sin(3t)\left(-\frac{1}{3}\cos(3t)\right)\]여기서 뒤의 두 개 항은 부호만 반대이고 값은 같은 것이므로,
\[\Rightarrow-\cos(3t)\left(\frac{1}{3}\ln|\sec(3t)+\tan(3t)|\right)\] \[=-\frac{\cos(3t)}{3}\ln|\sec(3t)+\tan(3t)|\]와 같이 particular solution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해는
\[x(t) = c_1\cos(3t)+c_2\sin(3t)-\frac{\cos(3t)}{3}\ln|\sec(3t)+\tan(3t)|\]이다.